↑↑ 박성진 본지 논설위원 | ||
ⓒ |
제대로 된 성과를 올릴 수 없다
산업화가 양산 근간이라면
그것에 기초한 경제와 문화를
양산 정체성으로 삼아
미래 비전을 완성해 나가자
전국을 여행하다 보면 지리적 경계가 되는 도로변이나 언덕 등지에 그 고장 특산물이나 캐치프레이즈를 대형 간판에 광고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소싯적 사회시간에 배웠음직한 ‘대구 사과’는 사실 경산시가 주산지였다.
천안 호두과자나 금산 인삼, 나주 배가 지역 특산품이라는 건 대개 알고 있지만, 청송 사과나 영암 고구마, 신안 튤립이 그렇다는 건 다녀보지 않고선 모른다. 그런가 하면 다이내믹(Dynamic)이나, 액티브(Active)라는 형용사가 도시 이름 앞에 붙는 것이 비단 우리 양산뿐만이 아니라는 것도 여행에서 알게 되는 상식이다.
지방자치시대가 진행되면서 이런 풍속도는 다반사가 됐다. 민선으로 구성된 지방정부가 나름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도시 브랜드를 추구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이른바 ‘정체성(Identity)’ 전쟁이라 할 만하다. 전국 250여개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인 살림살이 향상을 위해 여러모로 노력하고 있다.
자립재원 규모에 따라 지자체 빈부가 드러나고 있지만 어차피 지방 세원 확보가 쉽지 않은 만큼 중앙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지리적 여건으로 1차 산업 의존도가 높을수록 그런 경향이 심각하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 양산은 비교적 나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대도시와 인접하고 사회간접자본 기반이 양호한 이점을 안고 산업화 물결을 선도해 온 것이다. 지방자치제도라는 것은 한 마디로 ‘스스로 먹고 살아라’는 것이다. 국가 존립 목적이 되는 국방과 외교, 무역 등 큰 이슈를 제외하고는 주민 의식주를 독립적으로 해결하고자 세금을 걷고 복지를 베푸는 자치정부를 운용하는 것이다.
국세 편중화 문제는 잠시 젖혀두고 본다면, 자체 수입원이 확충돼야만 자치정부의 기본적 운영에 매달리지 않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눈을 돌릴 수 있다는 단순한 논리가 성립된다. 한 개인의 가정사로 봐도 최저생계비를 밑도는 가장의 수입만으로는 구성원의 문화적 삶은 기대하기 어렵다.
자연적으로 가족 모두에게 취업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그렇게 해서 향상된 가정 수입이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해 준다. 양산시 재정자립 수준은 전국에서도 상위권으로 알려져 있다. 경남도내 18개 시ㆍ군 가운데서도 도세(道稅) 징수 수준이 창원, 김해 다음으로 높다.
일부 농촌 지역 지자체에서 공무원 봉급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수준임을 고려할 때 한 해 9천억원이 넘는 살림살이 규모를 갖고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여기에 이바지하고 있는 것이 수천개 크고 작은 기업이다.
양산 정체성을 굳이 따진다면 그것은 산업도시라 할 수 있다. 거꾸로 산업도시라는 정체성은 도시 주축인 산업체와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의 삶의 질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를 견인하는 중심이 된 힘이 그에 상응하는 인정과 대우를 받아야 함은 당연하다.
시 재정에 큰 부분을 차지하면서도 사(私)경제 주체로 폄하되는가 하면, 시민사회 다수를 차지하는 기업 종사자에 대한 차별화된 보살핌은 존재하지 않는 기형적 발전이 계속되고 있다. 양산시가 그동안 내걸어 온 도시 브랜드는 너무 다양하고 전방위적이어서 오히려 목표를 정조준하지 못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역사도시, 관광도시, 교육도시, 문화ㆍ예술도시 등 한 도시가 하나의 목표를 설정해 추진하기도 벅찬 과제들을 모두 끌어안고 왔다. 그러다 보니 시민에게 제대로 인정받지도 못한 채 존재감 확보에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오히려 시민 사이에서 ‘도대체 양산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인가’라든지, ‘양산 특산물이 뭐지?’, ‘신라 충신 박제상과 웅상지역과 연관성은?’ 등의 풀리지 않는 정체성 혼란이 만연되고 있다. 관광도시, 교육도시, 문화ㆍ예술도시 모두 한 고장 브랜드로 충분한 상징이 될 수 있다.
문제는 여러 마리 토끼를 잡으려 하다가 한 마리도 못 잡고 만다는 교훈을 잊지 말자는 것이다. 전국에서도 산업도시 명성을 오랫동안 키워온 곳이 많다. 70년대 산업화 대명사인 울산과 구미가 그러하고, 근래 와서는 광양이나 포항, 여수 등지가 산업도시로서 면모를 일신하고 있다. 이런 곳의 특징은 도시 발전을 견인하는 중심축인 기업을 기초로 사회구조를 형성하고 문화적 발판을 구축해 나왔다는 것이다.
산업도시는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삶의 질 향상도 충분한 경제적 안정 위에서 오는 것이다.